반응형

굿이란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반응형



 

굿이란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굿은 형태에 따라 크게 선굿과 앉은굿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굿은 무당이 서서 하는 굿으로 일반적인 굿을 뜻하고, 앉은굿은 충청도 지역에서 무당이 앉아서 주로 독경을 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 제갓집을 위한 굿과 마을 전체를 위한 마을굿으로 나눠 볼 수도 있겠다.

 

한편 같은 목적의 굿이라 하더라도 지역에 따라 내용이나 명칭이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어 망자천도의례인 진오기굿은 서울·경기·황해도 지역에서 부르는 명칭이고, 충청도에서는 오구굿, 함경도는 망묵이굿, 평안도는 수왕굿, 강원도는 오구자리, 전라도는 씻김굿이라 하며 제주도는 시왕맞이라고 부른다.

 

또 어느 한 지역에서 특징적으로 전승되는 굿이 있는데 이를테면 만구대탁굿은 황해도 지역의 나이든 큰 무당들이 자신의 무업을 기리기 위해 하는 굿으로 규모와 제차가 다른 굿과는 사뭇 차이가 난다. 또 마을굿의 경우 그 지역의 동제와 결합하여 큰 지역적 축제가 되기도 하는 바 강릉단오굿이 그 예가 된다.

 

 천신(薦神)굿

 새로 추수한 곡식을 신령에게 바치며 집안의 평온을 기원하는 굿으로 평민들의 경우엔 재수굿이라 부른다.

 나라굿

 이것은 왕조시대에 왕가의 요청에 의해 행해지던 굿으로 지금은 사라졌다.

 신령기자굿

 무당이 스스로를 위하는 굿인데 무당이 되기 위한 내림굿(허주굿)과 자신이 모시는 신령을 위한 진적굿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진오기굿

 죽은이의 명복을 빌고 저승에 편히 가도록 하는 의례이다. 굿을 의뢰하는 계층에 따라 새남, 얼새남, 평진오기 등으로 나뉜다.

 용신굿

 이는 주로 강이나 바다 등 물가에서 물의 신령인 용신(龍神)을 위하여 행하는 굿이다.

 병굿

 식구 중에 병이 난 사람이 있을 경우 하는 굿으로 천연두를 물리치기 위한 마마배송굿이 유명하다.

 도당굿

 대표적인 마을굿으로 특히 중부지역에서 두드러진다.

 여탐굿

 혼인이나 환갑 등의 기쁜 일을 조상에게 알리는 굿으로 지금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굿이 있지만 오늘날에는  진오기굿·내림굿·병굿·재수굿 정도가 주로 행해지며, 소수의 특별한 굿들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받아 전승되고 있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하나의 굿 안에서 행해지는 거리에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할 경우 '○○굿'이라는 표현을 쓴다. 예를 들면 경기도 양주의 소놀이굿은 실은 그 지역의 경사굿 가운데 부속연희로서 독립된 굿이 아니며, 제석굿도 제석거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

er','GTM-K56WBB5'); 점집노트 - 여기에 입소문난 </html>